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빈대 발견시 신고 및 행동 수칙

by 마인드두 2023. 11. 9.

빈대란?

빈대
빈대

빈대는 흡혈성의 기생충으로, 사람의 피를 빨아먹고 살아갑니다. 빈대에 물리면 가려움증, 발진, 피부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감염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빈대는 침구류 및 의류에 서식하며 피를 한번 빨아 먹게 되면 30일 동안 살아 갈 수 있는 생명력이 질긴 곤충중 하나 입니다.

 

빈대 유후 확인 방법

빈대 배설물 자국

빈대의 배설물은 언뜻 보기엔 곰팡이와 착각 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빈대는 피를 빨아먹고 배설을 하기 때문에 문질러 보면 잉크나 액체퍼짐처럼 번지는게 특징입니다.

 

빈대 물림 증상

물림/자국
물림 자국

빈대는 혈관을 찾아 피를 빨기 위해 물면서 기어 다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렇게 일자 형태의 물림 자국이나 같은 부위의 여러방 물림 자국이 있다면 빈대일 가능성이 큽니다. 

대부분 모기물림과 착각 하기 쉬운데 빈대에 물렸을때 극심한 가려움과 심할경우 염증반응을 일으켜 피부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빈대 발견시 행동 수칙

빈대가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행동 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1. 침구류, 옷, 가구 등 빈대가 있을 만한 물건들을 모두 밀봉하여 폐기하거나 세탁소에 맡깁니다.

2. 집안 곳곳을 진공 청소기로 청소하고, 청소기의 먼지통은 밀봉하여 버립니다.

3. 집안 곳곳에 빈대 구제제를 살포합니다. 빈대 구제제는 빈대의 알까지 죽일 수 있는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빈대/구제제
빈대 구제제

빈대가 발생하면 초가 삼가 태운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작은 일 때문에 큰일을 그르치게 된다는 뜻입니다. 다른말로 그만큼 빈대를 박멸 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뜻입니다. 옛날에는 빈대가 나온 집에선 사람들이 나가 한두달은 지난 후 다시 들어 온다고 했다죠(빈대가 굶어 죽을때 까지) 

 

빈대 발견시 신고

빈대/신고
빈대 신고

110번 신고

빈대는 감염병의 위험이 있는 해충으로, 110번을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신고 시에는 빈대의 발생 위치와 발견 증상을 상세히 알려 주어야 합니다.

보건소 신고

보건소에도 빈대 발생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보건소에서는 빈대 방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시에는 빈대의 발생 위치와 발견 증상을 상세히 알려주어야 합니다.

 

110 정부 민원안내 콜센터

 

110 정부민원안내콜센터

행정 민원, 일반 생활 민원 등을 상담해 주는 범정부 콜센터. | 외국어 표기 | 政府民願案內 call center |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행정기관에 대한 민원과 일반 생활 민원을 상담해 주는 24

term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