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신이 가장 잘하고 못 하는 것의 기준
자신이 가장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아마 대부분일 것이다.
혹은 자신이 가장 못하는게 무엇인지도 잘 모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 두가지가 자신이 느끼는 객관적 기준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자신이 가장 못하는게 명확히 아는 사람은 정작 그것이 정말 못하는 것인지 객관화가 안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자신이 가장 못하는걸 명확히 모르는 사람은 자신의 장단점에 대한 명확한 객관화가 안되어 있다는 뜻이다.
즉 자기 자신을 메타인지 하는 능력에 따라 본인이 잘하고 못하고의 판별이 익숙하지 않다는 것을 말한다.
2. 잘하는 것과 못 하는 것의 인지 차이
우리는 지금까지 자신이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초점을 가지고 살아 왔다.
사람들은 경쟁 속에서 살고 직장이나 학교에서 누구보다 다른사람보다 잘하려고 아둥바둥 애쓰며 살아온 환경이 내가 정작 잘하고 못하고의 명확한 객관화에 어려움을 갖게 해준다.
자신이 잘하는것을 인정 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타인보다 내가 우위에 있어야 하거나 보다 많이 알아야 하는 강박에 대한 관념은 "정말 내가 잘하는 것인가" 라는 의문을 갖게 해준다.
다른 사람이 보기에 당신은 누구보다 잘하는 것이라고 말해줘도 정작 본인은 그 분야속에서 본인보다 잘하는 사람을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본인은 못하는 것이라고 치부하기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이 잘하는 것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상향 평준화 되어 있어 결국 객관적으로 본인이 그 일을 잘하면서도 못한다는 생각으로 접어들게 된다.
똑같이 못하는 것에 대한 기준도 잘하는 것에 대한 기준처럼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잘하는 것과는 별개로 못하는 것에 대한 인지는 두가지의 특징을 갖는다.
첫번째는 자신이 못해도 다른 사람이 자신보다 더 못하다는 것에대한 관심은 없다는 것.
두번째는 자신이 조금만 못해도 가장 못하는 사람으로 스스로 여기는것.
잘하는 것에 대한 기준은 자신보다 잘하는 사람이 기준이 되는 반면,
못하는 것에 대한 기준은 자신보다 못하는 사람이 기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3. 메타인지(객관화) 방법
그렇다면 우리 자신이 잘하는 것이 무엇이고,
못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메타적 인지를 가능케 하는 방법은
위에서 언급 했듯이 우리는 잘하는 것의 기준과 못하는 것의 기준이 다르다는 것을 제일 먼저 알아야 해야 한다.
얼핏 보기에는 잘하고 못하고의 기준이 타인과 나에 대한 기준이라고 여긴다고 생각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인이 잘하는것과 못하는 것은 객관적 기준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타인을 기준으로 하는 본인의 객관화는 절대 올바른 객관화가 아니라는 것이다.
명확한 객관화라 함은 자신의 기준을 세우고 이 기준을 바탕으로 잘하고 못 하고의 판별을 가능케 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선 이글의 타이틀인 '못 하는 것을 해라'이다.
잘하는 것의 기준과 못하는것의 기준을 이용하자는 것이다.
못하는 것의 두가지 요소중 하나인 자신이 조금만 못해도 가장 못하는 사람으로 여기는 요소를 이용하는 것이다.
자신이 못한다고 했던 그 일을 열심히 한번 해보자.
그러면 정작 본인이 못하는 것이 아니라는 인지를 하거나, 정말 자신이 못하는 것에 대한 객관적 기준을 세울 수 있다.
반면 잘하는 것은 아무리 잘해도 타인과 나의 상대적 판별을 할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끝없는 레이스로 인한 본인의 능력을 평가하지 못할 수 있다.
잘하는 것과 못하는것은 서로 반대적 성향을 갖지 않는 다는 것을 먼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못하는 것을 진심을 다해 해봤을때 비로소 자신과 맞지 않는 일에 대한 객관화가 형성되고
동시에 상대적으로 본인이 잘한다는 것에 대한 기준 확립이 자동적으로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성공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스트셀러 역행자 요약 (0) | 2023.07.08 |
---|---|
잘 해도 남들에게 인정 받지 못하는 이유 (0) | 2023.06.22 |
간절하면 안 이루어진다. #성공 #성공마인드 #성공비밀 (0) | 2023.05.30 |
미움 받지 않는 사람들 특징 6가지 (0) | 2023.02.16 |
#두려움은 환상이다.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 (1) | 2022.11.17 |